기생충_상 받을만한 영화

출처_구글 이미지

기생충 등장인물

 

기생충은 2019년 5월 개봉한 영화이며 빈부격차가 극명한 가족들의 운명을 담은, 많은 생각을 할 수 있게 만든 작품입니다.

기택 역을 맡은 송강호는 반지하 가족의 가장으로 출연하고 그의 아내 충숙 역은 장혜진 님이 맡았습니다. 그리고 기택의 자녀들로는 기우 역의 최우식, 기정 역의 박소담이 열연했습니다. 반대로 재벌집의 가장인 박 사장 역은 이선균이, 박사장의 아내인 연교 역에는 조여정이 출연했습니다. 박사장의 자녀들로는 다혜 역의 정 지소, 다송역에는 정현준 군이 출연했습니다. 

 

기생충 대략적인 내용과 결말

 

온 가족이 백수인 반지하게 살고 있는 한가족이 있었습니다. 기택과 충숙, 기우와 기정은 피자박스를 접으며 어렵게 살고 있던 중 기우의 친구 민혁이 어느 날 집으로 찾아오게 됩니다. 민혁은 명문대에 다니고 있는 기우의 친구이며 자신이 유학을 가는데 자신을 대신해 과외를 맡아달라 기우에게 부탁하게 됩니다. 이에 기정이 학교에 관련된 서류를 조작하여 기우에게 건네 고기 우는 드디어 재벌집에 입성하게 됩니다. 눈이 휘둥그레지는 집안의 모습에 눈이 돌아가지만 침착함을 잃지 않고 테스트 과외에 성공하게 되고 재벌집 아들인 다송의 미술과외 선생님으로 기정까지 추천하며 이 남매는 동시에 재벌집에 채용되게 됩니다. 그리고 기정은 재벌집 운전기사의 차에 타서 자신의 팬티를 조수석에 숨겨두고 그것을 발견한 박사장은 운전기사를 해과 하며 그 운전기사 자리에 기택이 들어오게 되고 일하는 가정부에게는 결핵에 걸린 것 같다고 몰아세워 기존 가정부를 해고하고 반지하에 남은 엄마 충숙까지 온 가족이 재벌집에서 일하게 됩니다. 어느 날 박사 장가족이 캠핑을 가고 반지하 가족은 재벌집에서 술을 마시며 자신들의 집인 것 마냥 파티를 즐기는데 해고되었던 가정부가 놓고 간 물건이 있다며 초인종을 누르고 가종부는 자신의 남편이 재벌집 지하에서 거주하는 것과 남편에게 먹을 것을 줘야 한다며 기택의 가족과 실랑이를 벌이게 됩니다. 그러던 중 갑자기 집으로 돌아온다는 박사장의 전화에 가정부 부부를 지하실에 가두게 되고 반지하 가족들은 혼비백산하여 집을 정리하고 숨기에 급급합니다. 이후 다송의 생일파티가 열리고 박사장과 기택은 다송이 좋아하는 인디언 분장을 하고 숨어있고 기우는 자신의 실수로 수석을 놓쳐 지하실로 내려갔다가 가정부의 남편이 수석으로 기우의 머리를 내려찍어 기우는 쓰러지게 됩니다. 그리고 가정부의 남편이 칼을 들고 파티가 열리는 정원으로 나와 기정을 찌르게 됩니다. 한순간에 모든 것이 아수라장이 되고 기택은 자신을 무시한던 행동을 하던 박사장에 게 감 감정이 터져버려 박사장을 찌르고 도망치게 됩니다. 알고 보니 기택은 사건 이후 재벌집 지하에 갇혀 지내고 있으며 기우는 아버지인 기택에게 기다리라는 편지를 읊으며 영화는 끝이 납니다. 

 

기생충을 보고 

 

온갖 해외 영화제의 상을 휩쓴 기생충이란 영화를 처음 봤을 때의 느낌이 아직 생생합니다. 어찌 보면 계급사회에 던진 큰 돌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충격적인 영화로 다가왔습니다. 특히나 매너 있고 지적으로 보이는 재벌부부가 냄새 하나로 기택을 무시하고 하대하는 느낌으로 왔을 때 저도 제 티의 냄새를 맡아보았을 정도로 참 많은 것을 던져준 영화였다고 생각합니다.  매 장면 하나하나 대사 하나에도 풍자를 담고 있는 것처럼 다가 오고영 화를 보는 내내 지루함 전혀 없이 몰입할 수 있었던 진정한 블랙코미디 영화가 아니었을까 생각됩니다. 물론 호불호가 갈리는 영화였지만 저는 극호라고 볼 수 있겠네요. 영화가 끝나고 친구들과 우스갯소리로 우리도 진정한 기생충이다라며 서로를 놀리고 있었지만 아마 모두의 마음속에 묵직한 무언가가 와닿았을 걸로 예상됩니다. 가장 잊히지 않는 장면은 홍수로 인해 반지하가 물에 잠긴 날 박소담이 변기 위에 앉아서 모든 것을 체념한 채 담배를 피우던 장면과 재벌 가족이 캠핑을 떠났을 때 제집처럼 파티를 열던 반지하 가족의 모습입니다. 실로 이해되지 않았지만 그럴 수도 있겠다 싶어서 가슴 쓰렸던 장면으로 기억됩니다. 대한민국에서 이렇게 잘 만들어진 블랙 코미디물이 있을까 싶었을 정도로 저에게는 완벽한 영화로 기억됩니다. 같이 영화를 본 친구는 결말이 찝찝하다며 싫어했고 어떤 친구는 무엇을 시사하는지 모르겠고 그냥 기분이 나쁜 영화라고도 했습니다. 여러 의견들이 분분하지만 우선은 우리나라 영화가 해외에서 여러 가지 상을 받았고 무엇보다 제가 너무 좋아하는 봉준호 감독님의 영화였기에 제게는 너무도 완벽한 영화였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